기독교의 뜻깊은 절기인 부활절을 맞아 예수의 가르침을 온몸으로 살아낸 한 성직자의 에세이가 출간되었다. 『산 너머 안골에는 누가 살길래』는 서울에서 교사 생활을 하던 저자가 장애를 겪는 목사 남편과 충남 예산의 오지마을 안골에 정착해 작은 교회를 세우고 이웃과 함께해온 사역을 따듯한 글에 담아낸 책이다. 예수의 삶을 살아낸 사람들의 이야기가 점점 드물어지는 지금, 소외된 이웃의 고통에 눈감지 않고 성취 대신 존재의 의미에 귀를 기울이는 저자의 이야기는 참 신앙인의 삶을 되묻게 하는 소중한 체험이 될 것이다.
전도사님, 미친 거 아니에요?
저자 김진희 전도사는 자신의 삶을 정의하는 한 단어로 ‘아웃 오브 마인드’(out of mind)를 꼽는다. 인생의 중요한 선택의 고비마다 들어온 말이 바로 ‘미친 거 아니냐’는 말이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잘나가는’ 대학을 선택할 수 있었던 고3 시절 하늘의 음성을 듣고 신학대학을 택하자 주변 사람들이 제정신이냐고 물었다. 겨우 스물셋 나이, 지체장애 2급에 열두 살이나 많은 신학생과 결혼하겠다고 선언하니 이번에도 미쳤냐는 말이 돌아왔다.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멀쩡하게 교사로 일하다가 시골로 내려가겠다니 역시나 미친 거 아니냐는 말이 들려왔다. 시골 오지마을에 내려와 황토 예배당을 짓고 목회를 시작하겠다니 어김없이 그 말을 마주하게 됐다. “너 미쳤구나.” 사람들의 눈에 저자의 인생은 그저 미친 짓의 연속일 뿐이었다. 하지만 저자는 정신에서 벗어난 뒤에야, 즉 ‘아웃 오브 마인드’의 상태에 이르러서야 영적인 삶을 추구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그건 미친 선택이 아니라 내면의 음성에 귀를 기울여 새로운 지평으로 나아가는 과정이었다고 저자는 고백한다(「아웃 오브 마인드의 인생」).
시골에서의 시작은 쉽지 않았다. 뱀과 마주치지 않고, 쥐를 목격하지 않게 해달라고 매일매일 기도했다. 교회를 세우겠다고 하니 목사 안수나 받고 떠날 심산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시골에서의 삶은 저자에게 영적 깨달음을 주었다. 뇌출혈로 좌반신이 마비된 남편과 함께한 시골 사역 덕분에 타인의 고통에 눈감지 않고 그것에 비추어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힘이 길러졌다. 저자는 읍내까지 12km에 이르는 길을 걸어다니는 연습을 시작한다. 그 시도는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편리함의 때를 벗겨내는 순례이자 묵상의 여정이었다(「읍내까지 걷다」). 문화에서 소외된 지역의 장애인들과 어린이들을 위한 음악회를 열자 사람들의 마음도 열리기 시작했다. 마침내 2002년 충남 예산의 오지마을에 안골교회가 설립되었고, 저자 부부를 의심하던 사람들마저 눈물로 창립을 축하해주었다.
음악회로 시작한 안골교회의 사역은 전혀 예상치 못한 섬김으로 이어졌다. 저자는 시골의 몇몇 어르신들이 한글을 깨우치지 못해 성경을 읽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런 분들을 한분 두분 모아 한글을 가르쳐드리기 시작했다. 못 배운 한을 풀고자 열심히 한글 공부에 매달리는 분들을 보며 저자는 눈물을 삼켰다(「그들을 통해 내가 배우는 것들」 외). 그렇게 시작된 한글 공부가 마을의 공식 한글교실로 이어졌고 마침내 열 분의 어르신들이 한글을 깨우치고 졸업식까지 하는 경사로 이어졌다. 일제강점기 소설 『상록수』에나 나올 법한 저자의 이야기는 민초들의 소외된 삶의 증언이자, 그럼에도 하나님이 이들을 외면하지 않으신다는 증거로 기록될 만하다.
성취하지 말고 존재하라
안골교회가 추구한 또 하나의 사역은 청소년들을 향한 생태와 영성교육에 맞춰져 있다. 안골교회 주변의 자연은 도시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축복된 영적 통로였고 많은 청소년과 청년들이 그 통로로 모여들었다. 저자는 안골 하늘숨학교를 세워 시골교회가 생태적 영성의 학교가 되는 일로 나아갔다. 나무시계 만들기, 간단한 요리하기 등 아주 작은 것이라도 기쁨을 가지고 스스로 해보는 교육을 지향함으로써 공부와 학원에 지쳐 점점 자아를 잃어가는 청소년들에게 하나님의 창조 섭리와 스스로의 가능성을 마음껏 펼치도록 이끌어주었다(「안골 하늘숨학교를 시작하며」 외).
이처럼 책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시골교회의 따듯한 사랑의 섬김을 담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세속의 물질문명에 대한 강한 저항을 품고 있다. 편하고 빠른 건축방식을 거부하고 주변의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느리게 지어진 안골의 황토 예배당은 그런 저항 정신의 상징적 건축물이다(「안골 예배당, 문명을 거스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안골 예배당 주변을 가득 채운 자연에서의 깨달음이다. 저자는 온통 성취하는 일에 기울어진 세상에서 벗어나 존재의 참 의미를 깊이 묵상하는 습관을 자연에서 배운다. 자연 속에 충만한 하나님의 선하고 거룩한 영으로 우리의 마음을 가득 채우는 과정을 저자는 ‘성취하려 말고 존재하라’는 문장에 담아낸다(「꽃이 내 마음에 조용한 혁명을 일으키다」). 두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아이들이 스스로 할 일을 찾을 때까지 기다려줌으로써 상상력과 인내력을 키워주는 모습 역시 인상적이다.
사랑과 저항의 정신으로 예수님의 삶을 실천해오던 안골교회 사역에 큰 위기가 찾아온 것은 지난 2018년 남편 서영수 목사님이 두번째 뇌졸중으로 쓰러지면서부터였다. 살아남기 힘들 거라는 병원의 통고를 받고 장례 이야기가 나올 무렵, 목사님이 기적적으로 회복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이 일로 남편은 목회를 그만두고 휠체어에 의지하게 됐지만 저자는 신을 향한 감사의 마음을 잃지 않는다. 목회자로서 시골교회 사역의 비전을 굳건히 지켜온 남편이 아니었다면 이렇듯 복된 삶을 살아오지 못했음을 알기 때문이다.
얼마 있으면 김진희 전도사는 남편의 사역을 이어 목사 안수를 받는다. 안골교회의 스무 해 창립기념일도 다가오고 있다. 사역 초기 허름한 창고 벽에 크게 써둔 글처럼, ‘누군가 걸으면 그곳이 길이 되는’ 역사가 안골교회의 앞날을 밝혀주리라는 믿음도 식지 않았다. 저자는 다시 길을 나설 준비를 하고 있다.